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87

C# : null 조건부 연산자 널 조건부 연산자 = ?. ?. 가 하는 일은 객체의 맴버에 접근하기 전에 해당 객체가 null인지 검사하여 그 결과가 참(null일때)이면 그 결과로 null을 반환하고, 거짓을 경우에는 . 뒤에 지정된 맴버를 반환한다. ?. 연산자를 사용한 코드와 사용하지 않은 코드를 비교해서 확인해보자. 1. ?.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 연산자를 사용한 코드 class Foo { public int member; } Foo foo = null; int? bar; if(foo == null) bar = null; else bar = foo.member; 2. ?. 연산자를 사용한 코드 class Foo { public int member; } Foo foo = null; int? bar; bar = foo?.m.. 2021. 7. 10.
C# : Nullable 형식 어떠한 값도 가지지 않는 변수를 선언해야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이럴때 Nullable 형식을 사용하면 된다. 선언하는 방식 데이터? 변수이름; ex) int? a = null; float? b = null; 다만, Nullable 형식은 값 형식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참조형식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2021. 7. 10.
C#: 열거 형식 (enum) 열거 형식을 선언하는 방식 enum 열거형식명 : 기반자료형 { 상수1, 상수2, 상수3, ... } ex) enum MessageResult { YES, NO, CANCEL, OK } 기반자료형을 생략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생략할 경우 자동으로 int를 기반자료형으로 인식한다. 열거형태로 선언할 경우 전부 상수로 처리된다. 열거형식을 사용하는 이유. 1. 종류는 같지만 다른 값을 갖는 상수를 여러개 선언해야할 때. 2. 상수를 선언하는 과정에서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ex) 메세지 박스로 사용자의 응답을 받을 때 -> YES, NO, CANCEL, OK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을 상수로 선언해서 사용할 때 enum으로 묶어서 한번에 선언할 수 있다. YES를 누르면 1, NO를 누르면 2, CA.. 2021. 7. 10.
C# : 상수( const ) 변수는 말 그대로 변화하는 값이다. 코딩에서 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값을 넣거나 바꾸거나 한다. 반면, 상수는 변수와는 다르게 입력된 데이터를 절대로 바꿀 수가 없다. 변수를 선언해놓고 바꾸지 않으면 되지, 굳이 상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나?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는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변경되지 않아야할 값을 상수로 선언해놓으면 프로그래머가 실수를 해도 상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수를 선언하는 형식 const 자료형 상수명 = 값; ex) const int a = 10; 선언할 때 반드시 데이터 값을 동시에 입력해줘야한다. 이렇게 상수를 사용해서 선언을 끝마친 a는, 항상 10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게되고 수정이 불가능해진다. 2021.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