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87

C# : 문자를 숫자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기 Parse() / 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형식이 문자열로 같다면 변수 앞에 (int)를 적어주는 방식으로 형식전환이 가능하다. ex) float a = 2.55; int b = (int)a; // b = 2; 그러나 문자를 숫자로 바꾸거나, 숫자를 문자로 바꾸는 것은 이런식으로는 불가능하다. 각 경우에 적절한 메소드를 사용해야한다. 1.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기 Parse() 메소드에 변환할 문자를 넣어주면 숫자로 변환된다. ex) int a = int.Parse("123"); float b = float.Parse("0.123"); 2.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숫자를 문자열로 바꿀 때는 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ex) int a = 123; string b =.. 2021. 7. 9.
기본 데이터 형식 : 숫자 데이터 형식 - 정수 계열 형식 숫자 형식 / 논리 형식 / 문자열 형식 / 오브젝트 형식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문자열 형식과 오브젝트 형식은 참조 형식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모두 값 형식이다. * 정수 계열 형식 byte : 부호 없는 정수 / 1바이트(8비트) / 0 ~ 255 sbyte : 정수 / 1바이트(8비트) / -127 ~ 127 short : 정수 / 2바이트(16비트) / -32,768 ~ 32,767 ushort : 부호 없는 정수 / 2바이트(16비트) / 0 ~ 65,535 int : 정수 / 4바이트(32비트) / -2,147,483,648 ~ 2,147,483,647 uint : 부호 없는 정수 / 4바이트(32비트) / 0 ~ 4,294,967,295 long : 정수 / 8바이트(64비트) / -922,.. 2021. 7. 8.
C# : 비트연산자2 - 비트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은 참, 거짓을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비트 논리 연산자는 데이터의 각 비트를 대상으로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비트논리연산자는 &, |, ^, ~으로 4가지가 존재하고 이전 글에 관련된 내용이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 같은 경우는 논리곱(AND) 연산자로, 각각의 비트가 모두 1일때만 1로 계산하고 나머지는 0으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8 : 1 0 0 0 | 은 논리합(OR) 연산자이므로, 둘 중 하나라도 1이라면 1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11 : 1 0 1 1 ^는 베타적 논리합(XOR) 연산자이다. 두개의 값이 다르면 1, 같으면 0으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3 : 0 0.. 2021. 7. 7.
C# : 조건 연산자 입력 방식 조건식 ? 참의 값 : 거짓의 값 int a = 30; string result = a == 30 ? "삼십" : "삼십아님"; == : 조건식 "삼십" : 참의 값 "삼십아님" : 거짓의 값 using System; namespace ConditionalOperator { class MainApp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result = (10 % 2) == 0 ? "짝수" : "홀수"; Console.WriteLine(result); } } } 참과 거짓일 때 출력되는 값의 형식이 동일해야함 2021.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