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5

C# : 문자를 숫자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기 Parse() / 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형식이 문자열로 같다면 변수 앞에 (int)를 적어주는 방식으로 형식전환이 가능하다. ex) float a = 2.55; int b = (int)a; // b = 2; 그러나 문자를 숫자로 바꾸거나, 숫자를 문자로 바꾸는 것은 이런식으로는 불가능하다. 각 경우에 적절한 메소드를 사용해야한다. 1.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기 Parse() 메소드에 변환할 문자를 넣어주면 숫자로 변환된다. ex) int a = int.Parse("123"); float b = float.Parse("0.123"); 2.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숫자를 문자열로 바꿀 때는 ToString()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ex) int a = 123; string b =.. 2021. 7. 9.
유니티에서 홀로렌즈2 개발 - 경계 설정 및 크기 조절 1. RoverExplorer에 스크립트 추가 RoverExplorer를 선택하고 Add Component를 통해서 BoundsControl과 Object manipulator를 추가해준 뒤 체크를 해제해준다. 2. 메뉴창 버튼 상호작용 설정 Menu - ButtonCollection에 위치한 버튼들을 펼치고 3번째 버튼의 이름을 BoundsControl_Enable로 변경해준뒤, Button Config Helper 스크립트에도 Text를 Enable이라고 적어주고 Onclick 이벤트를 첨부된 사진처럼 설정하고 아이콘도 바꿔준다. 3. Disable 버튼 설정 4번째 버튼도 위의 사진처럼 설정을 해준다. 모든 설정을 끝마치면, RoverExplorer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고 회전하거나 크기를 조절할.. 2021. 7. 8.
기본 데이터 형식 : 숫자 데이터 형식 - 정수 계열 형식 숫자 형식 / 논리 형식 / 문자열 형식 / 오브젝트 형식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문자열 형식과 오브젝트 형식은 참조 형식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모두 값 형식이다. * 정수 계열 형식 byte : 부호 없는 정수 / 1바이트(8비트) / 0 ~ 255 sbyte : 정수 / 1바이트(8비트) / -127 ~ 127 short : 정수 / 2바이트(16비트) / -32,768 ~ 32,767 ushort : 부호 없는 정수 / 2바이트(16비트) / 0 ~ 65,535 int : 정수 / 4바이트(32비트) / -2,147,483,648 ~ 2,147,483,647 uint : 부호 없는 정수 / 4바이트(32비트) / 0 ~ 4,294,967,295 long : 정수 / 8바이트(64비트) / -922,.. 2021. 7. 8.
C# : 비트연산자2 - 비트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은 참, 거짓을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비트 논리 연산자는 데이터의 각 비트를 대상으로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비트논리연산자는 &, |, ^, ~으로 4가지가 존재하고 이전 글에 관련된 내용이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 같은 경우는 논리곱(AND) 연산자로, 각각의 비트가 모두 1일때만 1로 계산하고 나머지는 0으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8 : 1 0 0 0 | 은 논리합(OR) 연산자이므로, 둘 중 하나라도 1이라면 1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11 : 1 0 1 1 ^는 베타적 논리합(XOR) 연산자이다. 두개의 값이 다르면 1, 같으면 0으로 처리한다. 9 : 1 0 0 1 10 : 1 0 1 0 = 3 : 0 0.. 2021.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