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5

C# : 조건 연산자 입력 방식 조건식 ? 참의 값 : 거짓의 값 int a = 30; string result = a == 30 ? "삼십" : "삼십아님"; == : 조건식 "삼십" : 참의 값 "삼십아님" : 거짓의 값 using System; namespace ConditionalOperator { class MainApp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result = (10 % 2) == 0 ? "짝수" : "홀수"; Console.WriteLine(result); } } } 참과 거짓일 때 출력되는 값의 형식이 동일해야함 2021. 7. 7.
유니티에서 홀로렌즈2 개발 - 오브젝트 손으로 잡고 옮기기 1. 컴포넌트 추가 RoverAssembly와 Parts를 모두 선택한 다음, Add Component를 눌러서 Object Manipulator NearInteractionGrabbable PartAssemblyController 를 추가해준다. 2. Object Manipulator 설정 Object Manipulator에서 Two Handed manipulation을 Move와 Rotate만 선택해준다. 3. Audio 설정 RoverAssembly와 Parts를 모두 선택한 다음, Add Component로 Audio Source를 추가해준 뒤 MRTK - StandardAssets - Audio 안에 있는 MRTK_Scale_Start를 AudioClip에 넣어준다음에 Play on Awake의.. 2021. 7. 7.
값 형식과 참조 형식 :스택과 힙 값 형식 : 변수가 값을 담는 데이터 형식 = 스택 메모리 영역에 관련 있음 참조 형식 : 변수가 값 대신 값이 있는 곳의 위치를 담는 데이터 형식 = 힙 메모리 영역에 관련 있음 스택 메모리 영역과 힙 메모리 영역은 동작하는 방식이 다르다. 스택 메모리 영역은 코드 블록이 시작되는 시점( " { " )에는 비어있다. 코드가 진행 되면서 int a = 100; 등의 값이 저장된 변수들이 선언되면서 스택에 a, b, c.... 등등이 차곡차곡 쌓여올라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코드 블록이 종료되는 } 기호를 만나면 스택에 저장되었던 변수들을 역순으로 하나씩 제거해나간다. 즉, 스택 메모리 영역은 코드블록( { } )안에서만 존재했다가 자동으로 지워진다. 반면, 힙 메모리는 저장된 데이터가 알아서 제거되지 않기.. 2021. 7. 7.
C#에서 2진수, 10진수, 16진수 리터럴 2진수 : 0b (숫자 0과 알파벳 b) 16진수 : 0X 또는 0x ( 숫자 0과 알파벳 x ) 진수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해당 리터럴을 접두사로서 사용하면 된다. 2021.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