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65 유니티 홀로렌즈2 개발 - 오브젝트 집고 옮기기 1. 상호작용을 할 오브젝트에 컴포넌트를 추가한다 RoverAssembly를 선택하고 Add Component를 눌러서 Tap To Place를 추가해준다. 해당 요소가 추가된 오브젝트가 Ray를 맞고있는 상황에서 엄지와 검지를 닿았다가 떼어내는 것으로 선택하여 옮길 수 있게 된다. 2. 세팅 값 설정 일단 자동으로 SolverHandler도 추가되는데 마찬가지로 Head로 설정해준다. 이러면 선택한 후에 플레이어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Head가 아니어도 된다. 본인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설정해주자. 그리고 Tap To Place에서 첨부한 이미지처럼 설정값을 변경해준다. 3. On Placing Started 설정 On Placing Started의 + 부분을 눌러준다. 그 후에 R.. 2021. 7. 2. 유니티 C# : 주변 오브젝트 날려버리기 - AddExplosionForce 유니티에서 게임을 제작하다보면 폭발을 구현해야할 때가 있다. 사실 펑하고 터지면서 연기가 나는 등의 이팩트는 에셋을 이용하면 되지만, 폭발이 일어났을 때 주변에 있는 오브젝트가 밀려나거나 반동으로 날아가버리는 등 상호작용을 구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겠지만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이전에 업로드 했던 주변 콜라이더 검출 방법에 대한 글과 그리고 Rigidbody의 AddExplosionForce함수, foreach문을 사용해서 손쉽게 코드를 완성할 수 있다. 유니티 C# : 일정 범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 검출하는 방법 유니티로 게임을 만들다보면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찾아야하는 경우가 잦다. 예를 들면, VR에서 플에이어가 무언가를 잡을때 잡을 수.. 2021. 7. 2. 유니티로 홀로렌즈2 개발 - 대상을 따라다니는 Indicator 1. 인디케이터로 사용할 오브젝트를 가져온다 MRTK.Tutorials 폴더 - Prefabs 안에 존재하는 Chevron을 하이어라키창으로 드래그앤드롭하고 이름을 Indicator로 변경. 그리고 Transform을 적절히 조절해서 가리키려는 대상과 어울리게 만들어준다. 2. DirectonalIndicator 컴포넌트 추가 인디케이터를 선택하고 컴포넌트 추가를 눌러준다. DirectonalIndicator를 입력하여 추가해준다. 3. 설정값 세팅 DirectonalIndicator를 컴포넌트 추가를 해주면, SolverHandler와 DirectonalIndicator가 자동으로 추가된다. 먼저 SolverHandler의 Tracked Target Type을 Head로 설정해준다. 머리의 방향을 인식.. 2021. 7. 1. 유니티에서 홀로렌즈2 개발 - 오브젝트 배치 / 조립,분해 세팅 1. Tutorials 폴더에 오브젝트를 하이어라키창에 가져온다 하이어라키창에서 Create Empty를 누르고 RoverExplorer로 이름을 변경해준다. MRTK.Tutorials 폴더 - Prefabs 안에 존재하는 RoverAssembly와 Table을 하이어라키 창으로 드래그앤드롭하여 RoverExplorer의 자식으로 넣어준다. 2. 오브젝트의 Parts를 복제 RoverExplorer 자식으로 다시 Create Empty를 생성해주고 RoverParts로 이름을 넣어준다. 그리고 가져왔던 프리팹 중, RoverAssembly - Parts 안에 존재하는 5개의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RoverParts에 자식으로 넣어준다. 3. 복사한 파트를 확인 복사했던 오브젝트들에 이름 뒤에 _Part를 .. 2021. 6. 30.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