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5

유니티에서 홀로렌즈2 개발 세팅 1. 2019.4.28 버전으로 유니티프로젝트를 생성 저장위치에 한글이 없도록 항상 주의하자 2. 빌드세팅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Universal Windows Platform 탭을 선택하고 첨부한 것과 같이 세팅하여 스위치 플랫폼을 해준다. 버전같은 경우는 크게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나는 해당 버전이 편하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했다. Build and Run on 부분도 usb로 해뒀긴 하지만 차후에 Remote Device로 변경할 것이다. 3. XR Settings을 설정해준다. 플레이어 세팅에 플레이어 탭에서 XR 세팅에 표시해둔 곳에 체크를 해준다. 그럼 잠시 후에 설정이 적용된다. 4. Depth Format 설정 Virtual Reality Supported를 체크하면 다음과 같은 탭.. 2021. 6. 29.
유니티에서 홀로렌즈2 개발 준비 홀로렌즈2도 유니티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데 설정이 좀 까다롭다.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서 차이점이 많이 존재하겠지만, 현재 기준으로( 2021년 6월 ) 홀로렌즈2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1. 홀로렌즈2 2. 윈도우 10이 설치된 컴퓨터 ( windows10 10.0.18362.0 이상의 버전) 3. 유니티 2019 LTS 버전 ( Unity 2019.4LTS) 4. MRTK(Mixed Reality Toolkit) 이 4가지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설명서를 기반으로 기본기를 서술해 나갈 생각이다. Mixed Reality 설명서 - Mixed Reality HoloLens 및 Windows 몰입형 헤.. 2021. 6. 28.
AR에서 비마커방식으로 땅을 인식하기 기본적으로 ar 세팅을 끝마친 상태로 진행한다 이전 글 참고 2021.06.20 - [AR] - 유니티에서 ARCore 세팅하기 1. AR Session 추가 하이어라키 창에 AR Session과 AR Session Origin을 추가한다. AR Session Origin에 AR Camera가 존재하므로 메인카메라를 삭제해도 된다. 메인 카메라를 삭제할 경우 AR 카메라의 태그를 메인카메라로 변경해야한다. 2. AR Plane manager 추가 AR Session Origin에서 Add Component를 눌러서 AR Plane manager를 추가해준다. 3. AR Default Plane 추가 하이어라키창의 XR 탭에서 AR Default Plane을 눌러서 추가해준다 4. 프리팹 추가 추가했던 A.. 2021. 6. 21.
유니티에서 ARCore 세팅하기 1. 안드로이드로 스위치 플랫폼을 해준다. Ctrl + Shift + B 눌러서 빌드세팅창을 켜고 안드로이드로 변경 ( ios인 경우는 ios로 ) 스위치 플랫폼은 나중에 해도 되지만 개발 도중에 변경을 하게 되면 시간이 오래걸리므로 맨처음에 플랫폼 변경을 한 뒤에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2. Package Manager를 켜준다 3. Unity Registry로 이동 4. 필요 요소 설치 안드로이드는 AR Foundation과 ARCore XR Plugin을 설치한다. ios인 경우는 AR Foundation과 ARKit XR Plugin을 설치. 설치하는 버전이 동일해야함. 5. 하이어라키 창에 XR 탭이 생성 됨 XR탭에 ar 요소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요소들로 ar 개발을 진행하.. 2021. 6. 20.
반응형